대출 한도 늘리는 방법: 핵심은 DSR


대출 한도는 이렇게 결정돼요


대출 한도는 내가 빌릴 수 있는 최대 금액을 말해요. 기본적으로 신용, 소득, 자산, 기존 대출 등에 따라 결정돼요.


은행마다 평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조건이라도 결과는 달라질 수 있고요. 일부 대출*에는 DSR 규제가 적용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들기도 해요.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카드론 등




DSR이란?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ebt Service Ratio)의 줄임말로, 연소득 대비 1년간 갚아야 할 대출금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쉽게 말하면, '소득에 비해 대출이 얼마나 있는지'를 살펴보는 거죠. 금융사는 이걸 바탕으로 대출 가능한 금액의 상한선을 정해요.


📌 DSR 계산은 이렇게 해요

1년간 갚을 대출 원리금(원금+이자) ÷ 연소득 x 100


예를 들어,

  • 연소득이 5천만 원이고

  • 1년간 갚을 대출 원리금이 2천만 원이라면

  • DSR은 40%가 돼요.


이 비율이 높을수록 대출이 많다고 판단되어, 추가 대출이 어려울 수 있어요.




왜 중요할까요?


DSR은 대출 가능 여부는 물론,

대출 한도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이에요.


DSR이

  • 40%를 넘으면 대부분 1금융권 대출이 제한되고

  • 50%를 넘으면 2금융권 대출도 어려울 수 있어요.




대출 한도 이렇게 늘릴 수 있어요


DSR을 낮추면 대출 한도가 올라갈 수 있어요. 특히 아래 방법들이 도움이 돼요.


✅ 불필요한 대출 정리하기

안 쓰는 마이너스통장, 카드론 등을 정리하면 대출 여력이 늘 수 있어요. 특히 마이너스통장처럼 사용액이 아닌 '한도 전체'를 반영하는 대출은 DSR을 높이는 원인이 돼요.


✅ 대출 상환기간 늘리기

대출기간을 길게 잡으면 연간 상환 부담이 줄어들고, 자연히 DSR도 낮아져요. 단, 상환기간이 늘어나면 총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 연소득 늘리기

고정 수입을 높이거나, 부수입 증빙을 추가하면 DSR 계산 시 긍정적으로 반영돼요.



DSR 규제가 강화되는 요즘,

내 DSR을 미리 파악해두면 대출 계획을 훨씬 더 현명하게 세울 수 있어요.

이 글을 나만 알고 있기 아쉽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