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는 어떻게 산정될까

대출금리는 어떻게 산정될까

 

대출을 받을 때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바로 ‘금리’입니다. 대출금리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대신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비용이 낮으면 낮을수록 좋기 때문에 대출을 고민하고 있다면 대출금리가 가장 낮은 은행을 찾는 것이 우선입니다.

대출금리를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서는 대출금리를 어떻게 산출하는지도 아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금리를 낮출 수 있는 여력이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죠.

 

은행권 대출금리는 어떻게 구성되나

 

은행권 대출금리는 ‘대출기준금리+가산금리+가감조정금리’로 최종 대출금리가 결정됩니다.

 

은행권 대출금리
은행권 대출금리(자료:금융위원회)

 

대출금리에서 가장 기준이 되는 부분은 ‘기준금리’입니다. 대출기준금리는 개별 은행이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코픽스금리, 금융채금리, CD금리, 코리보(KORIBOR) 등 대출상품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대출기준금리가 다양한 이유는 대출 상품에 따라 만기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8개 은행 원화대출구성

(자료:금융위원회)

 

기준금리의 가장 대표적인 코픽스는 은행연합회에서 공시하는 지수입니다. 코픽스는 은행들의 자금조달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죠. 한마디로 은행들이 자금을 구할 때 들어가는 비용을 지수화한 것이죠.

 

한국은행에서 결정한 기준금리가 낮아진 저금리 시대에는 은행들이 자금을 구하는 비용이 낮아져 코픽스 지수도 낮아지게 됩니다. 반면 고금리 시대에는 은행들이 자금을 구하는 비용도 높아져 코픽스 지수도 상승합니다. 기준금리의 인상, 인하에 따라 대출금리도 높아지고 낮아지는 이유죠.

 

최종 대출금리를 결정하는 또다른 요소인 가산금리는 개별 은행이 대출과 관련된 업무원가, 목표이익률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는 금리를 말합니다. 은행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죠.

 

가산금리 중 대출자의 신용등급, 담보종류, 담보비율, 대출만기, 업종 등에 따라 향후에 평균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예상 손실 비용이 ‘신용프리미엄’입니다. 대출자 개인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신용등급이 높고 담보가 튼튼할수록 신용프리미엄도 낮아지게 되죠. 대출자의 신용등급과 직장, 연봉, 담보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달라지는 이유가 신용프리미엄 때문입니다.

 

또 가산금리 중 은행의 수익을 결정하는 항목은 가산금리 중 목표이익률입니다.

 

마지막으로 가감조정금리는 대출을 받는 은행의 급여통장 유무, 신용카드, 수신 실적 등에 따라 금리를 감면받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기본금리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

 

대출금리가 산정되는 방식은 알겠는데, 실제로 현재 대출금리가 얼마일까요?

 

우선 대출금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금리 중 코픽스(COFIX) 지수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은행연합회)

 

기준금리 외에 전체 은행의 대출금리 비교도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대출금리비교 항목에서 가계대출금리, 대출종류와 대출금리 상세보기를 선택해 검색하면 은행별로 신용등급별 대출금리, 기준금리, 가산금리, 가감조정금리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대출금리비교

(자료:은행연합회)

 

실제로 은행에서 대출 심사를 받은 후 결정되는 금리는 조금 차이가 있지만 은행을 방문하기 전에 각 은행의 금리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은행을 방문해 대출 심사를 받는 데는 한계가 있으니, 대출금리 비교 후에 가장 접근성이 좋은 은행 중 낮은 금리가 제시된 은행 2~3곳을 방문해 확인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또는 핀다에서 자신에게 맞는 대출 상품을 비교해서 금리를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 금리 비교뿐 아니라 상품별 대출 관련 비용이나 중도상환 수수료 등 부가적인 정보도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는 은행이 대출금리 산정내역서를 작성해 금융소비자에게 제공토록 의무화했습니다. 기준금리, 가산금리, 가감조정금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해 대출자가 제공한 소득, 담보 등의 기초정보가 대출심사에 제대로 반영됐는지 확인을 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은행에서 대출을 받게 된다면 반드시 대출금리 산정내역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유미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으며 이데일리에 입사해 기업금융, IT, 국제부, 증권부 등에서 취재를 하고 글을 썼다. 2016년 카이스트 MBA 졸업하고 2017년 여름부터 스타트업에서 콘텐츠 기획 및 편집 등을 담당하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