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연말정산 핀다로 얼마나 더 받을지 확인해보자
올해 결혼 2년 차, 핀다의 차대리는 궁금합니다.
30대 초반 핀다 차대리네 부부
코로나 때문에 외식, 쇼핑은 거의 하지 못했고
신용카드도 얼마 쓰지 않고, 전통시장은 무슨… 가지도 못했는데…
과연 13월의 월급이 될 수 있을까? 혹시, 얼마 더 떼어갈까 노심초사한 상황입니다.
사실 차대리는 늘 환급을 받아온 케이스예요.
2019년에는 23만원, 2018년에는 60만원이나 환급됐어요! (소비의 왕?)
현명한 소비를 즐겨왔지만, 올 해는 사실 가늠이 안 돼요.
그러던 중, 코로나로 인한 연말정산 공제율이 높아졌다는 소식을 접했죠!
Wow!
그런데… 너무 어렵습니다.
월별로 공제율이 다 다른데 4~7월 사이에 과연 신용카드를 많이 썼을까?
재난지원금 등을 받은 이력은 어떻게 책정해야할지 난감한 상황.
그러던 중 SNS에 친구가 신박한 연말정리, 아 아니 <연말정산 미리 해보기> 영상을 올린 걸 보게 됐어요.
[친구의 연말정산 계산 꿀팁 영상]
이런 금융 신상은 꼭 써봐야하는 차대리.
바로 써봤습니다. 따라오시죠.
[핀다 ‘연말정산 계산기’ 메인 화면]
연말정산 계산기 바로가기
자, 지금부터 핀다의 간편한 계산기로 ‘연말정산’ 미리 확인해보겠습니다. (두근두근)
1.총 연간 급여액 입력하기
과세 소득으로 잡히는 금액을 입력해주세요. 저는 부끄러우니 살짝 모자이크 할게요.
※ 식대, 교통비, 양육비로 지원받은 금액은 제외하고 입력해주세요.
또한,
※ 올해 출산휴가 중 지급받은 급여
※ 또는 중소기업 종사자라면 주택구입 또는 임대 수익은 총 급여에 포함되지 않아요.
[출처: 핀다 연말정산 계산기 연간급여액 입력 화면]
2. 연간 신용/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금액 입력하기
먼저 연간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입력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월 구간 별 달라진 공제율을 가중평균하여 계산해 줍니다.
다만, 3월~7월 사이에 소비가 몰려있는 경우에는 위의 [월 구간별 소득공제율 표]*를 참고하여 계산해보는게 더 정확할 수 있어요. 공제율이 더 높은 구간이니까요!
문화활동과 전통시장 소비가 많은 분이라면, 해당 사용금액은 체크카드 사용금액에 더해주세요.
[출처: 핀다 연말정산 계산기 연간 소득 입력 화면]
[출처: 핀다 연말정산 계산기 소비 내역 입력 화면]
3. 계산 결과 신속히 확인하기
결과로 보니, 일년 동안 열심히 돈 쓴 흔적을 고스란히 마주할 수 있네요… (뜨끔)
핀다 앱에서는 각 소비수단에 따른 소득공제한도를 각각 확인할 수 있고, 합산한 결과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핀다 앱에 제가 입력한 소득 정보를 바탕으로, 최대 소득공제한도를 찾아준답니다.
[출처: 핀다 연말정산 계산기 계산결과 화면]
4. 환급예상액과 잔여 소득공제한도 확인하기
핀다 연말정산 계산기에서 가장 좋은 점인데요! 내년에 받을 수 있는 환급금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답니다.
만약 소득공제 한도에 여유가 있다면, 어떤 소비 수단으로 지출해야지 소득공제 한도를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지 “핀다 코멘트”를 통해 확인하세요.
※ 참고 : 핀다 연말정산 계산기 시리즈
연말 정산 계산기는 핀다 앱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연중 내내 소비를 확인하며, 연말 정산 때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그 때 그때 코칭해드립니다. 곧 만나볼 수 있도록 꼼꼼히 만들고 있으니, 기다려주세요!
관련 핀다포스트로 이동하고 싶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