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서 찾아봤다!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의 차이점은?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의 차이를 아시나요?

필자는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을 처음 접했을 때 ‘둘의 차이점이 도대체 뭘까?’라는 의문을 가졌습니다. 이와 같은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분명 있으리라고 생각하여 두 상품을 비교 분석해보았습니다. 우선 핵심 내용을 먼저 요약해드리고 시작하려고 하니 바쁘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출처: 굿초보>

 

핵심 요약

1.두 상품 모두 중도해약을 하게 되면 경제적으로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2.온라인 다이렉트 보험은 오프라인에 비해 연금 수령액을 더 많이 돌려줍니다.

3.당장 혜택을 받고 싶다면 연금저축보험을, 연금 수령 시 혜택을 원한다면 연금보험을 추천합니다.

4.두 상품의 가장 중요한 차이인 세금혜택 비교

 

<출처: 굿초보>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보험은 여러분이 낸 보험료에 대해 연 400만 원을 한도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지방소득세를 포함해서 400만 원의 16.5%, 연 최대 660,000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을 받을 때는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3.3%에서 5.5%까지 비율의   소득세가 부과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연금보험

연금보험은 연금을 받을 때 소득세를 내지 않고 이자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보험같이 연말정산에 세액공제 혜택은 없지만,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을 1원도 떼이지 않고 다 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 비교

연금저축보험 : 최소 5년 이상 납입,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을 연금으로 받는 조건으로 가입해야 세액공제 가능

 

연금보험 : 보험료 5년 이상 납입, 월 150만 원 이내 납부, 연금을 받기 전까지 계약을 10년 이상 유지하면 보험 차익에 대해 15.4%까지 비과세와 연금 소득세 비과세 혜택 발생

 

 

자세한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 가입 TIP

1.두 상품 모두 중도해약을 하게 되면 경제적으로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가입 후 5년 이내에 해지하게 되면 그동안 세액공제를 받은 보험료 총액에 대해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내가 낸 돈을 돌려받는 데 여기에서 세금을 떼어갑니다. 이 기타소득세는 해지 환급금이 납입원금보다 작은 상황에서도 부과되기 때문에 손해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금보험은 세액공제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10년 이내에 해지를 한다고 해도 기타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단, 해지할 때, 납입원금보다 해지환급금이 많다면 이자수익이 발생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그 차액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둘 다 좋은 상품이지만 본인의 재정상태를 잘 따져보고 가입하시기를 추천해 드리며 혹시 일시적으로 보험료를 낼 여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일정 기간 보험료 납부를 연기할 수 있는 제도나 보험료 감액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2.온라인 다이렉트 보험은 점포 운영비, 설계사 수수료를 아껴서 오프라인에 비해 고객의 연금 수령액을 더 많이 돌려주기 때문에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보험은 꼭 온라인 보험으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연금저축보험 납입 보험료는 연간 1,8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그런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는 400만 원 (월 보험료 33만 4천 원 정도)이기 때문에 자금에 여력이 있다면 400만 원까지는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하고 추가 금액은 연금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보험의 바른 길찾기, 굿초보

굿초보

굿초보는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금융 생활을 돕는 핀테크 서비스입니다. 돈이 되는 금융 정보와 파격적인 굿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