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서 찾아봤다!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의 차이점은?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의 차이를 아시나요?
필자는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을 처음 접했을 때 ‘둘의 차이점이 도대체 뭘까?’라는 의문을 가졌습니다. 이와 같은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분명 있으리라고 생각하여 두 상품을 비교 분석해보았습니다. 우선 핵심 내용을 먼저 요약해드리고 시작하려고 하니 바쁘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출처: 굿초보>
핵심 요약
1.두 상품 모두 중도해약을 하게 되면 경제적으로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2.온라인 다이렉트 보험은 오프라인에 비해 연금 수령액을 더 많이 돌려줍니다.
3.당장 혜택을 받고 싶다면 연금저축보험을, 연금 수령 시 혜택을 원한다면 연금보험을 추천합니다.
4.두 상품의 가장 중요한 차이인 세금혜택 비교
<출처: 굿초보>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보험은 여러분이 낸 보험료에 대해 연 400만 원을 한도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지방소득세를 포함해서 400만 원의 16.5%, 연 최대 660,000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을 받을 때는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3.3%에서 5.5%까지 비율의 소득세가 부과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연금보험
연금보험은 연금을 받을 때 소득세를 내지 않고 이자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보험같이 연말정산에 세액공제 혜택은 없지만,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을 1원도 떼이지 않고 다 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 비교
연금저축보험 : 최소 5년 이상 납입,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을 연금으로 받는 조건으로 가입해야 세액공제 가능
연금보험 : 보험료 5년 이상 납입, 월 150만 원 이내 납부, 연금을 받기 전까지 계약을 10년 이상 유지하면 보험 차익에 대해 15.4%까지 비과세와 연금 소득세 비과세 혜택 발생
자세한 연금저축보험과 연금보험 가입 TIP
1.두 상품 모두 중도해약을 하게 되면 경제적으로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가입 후 5년 이내에 해지하게 되면 그동안 세액공제를 받은 보험료 총액에 대해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내가 낸 돈을 돌려받는 데 여기에서 세금을 떼어갑니다. 이 기타소득세는 해지 환급금이 납입원금보다 작은 상황에서도 부과되기 때문에 손해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금보험은 세액공제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10년 이내에 해지를 한다고 해도 기타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단, 해지할 때, 납입원금보다 해지환급금이 많다면 이자수익이 발생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그 차액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둘 다 좋은 상품이지만 본인의 재정상태를 잘 따져보고 가입하시기를 추천해 드리며 혹시 일시적으로 보험료를 낼 여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일정 기간 보험료 납부를 연기할 수 있는 제도나 보험료 감액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2.온라인 다이렉트 보험은 점포 운영비, 설계사 수수료를 아껴서 오프라인에 비해 고객의 연금 수령액을 더 많이 돌려주기 때문에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보험은 꼭 온라인 보험으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연금저축보험 납입 보험료는 연간 1,8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그런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는 400만 원 (월 보험료 33만 4천 원 정도)이기 때문에 자금에 여력이 있다면 400만 원까지는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하고 추가 금액은 연금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