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 월급으로 살아남기]지금, 저금하고 계신가요?
사회생활한지 1년이 채 안된 시작한 신입사원분들!
혹은 입사한지 이제 2~3년이 되어 회사 시스템이 어느 정도 몸에 익은 분들!
"저 부르셨나요?" – 출처 : tvN '미생' 캡처
지금, 저금하고 계신가요?
하고 계시다면 그 목적은 무엇인가요?
사회초년생들 대부분이 저축하는 이유로 결혼자금, 내 집 마련 등을 이야기합니다. 그 밖에 학자금 상환, 노후대비 등을 이야기하기도 하죠. 물론 여행을 위해 모으거나, 부모님께 효도하기 위해 모으시는 분들도 있는 등 디테일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일 순 있지만 대부분 어느 정도 비슷한 양상을 띱니다.
출처 : tvN '미생' 캡처
더 많은 금융 정보를 원한다면?
핀다의 회원이 되어주세요.
매주 알찬 금융 정보를 보내드립니다.
취업, 결혼, 육아, 내 집 장만까지…
우리가 겪을 많은 일들은 어디까지나 막연하게 ‘예상’ 가능한 것들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갑자기 아프게 되어서 병원비로 많은 돈을 써야할 때, 혹은 가족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 때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를 생각해보면, 재테크란 단순히 부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 인생에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앞으로 내게 무슨 일이 생길 지 알 수 없으며, 이는 돈과 관련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재테크의 출발은 무엇일까요? 바로 ‘목표설정’입니다.
그럼 여기서 재테크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3가지!
1.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너무 비현실적이면 실천할 수 없습니다.
2. 당장 시작할 수 있어야합니다. 재테크란 지금 실행해서 나중에 결실을 맺는 것 입니다.
3.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애매모호한 저축 목표는 결과 또한 애매모해집니다.
그동안 막연하게 모아왔었는데, 갑자기 진지하게 생각해보려니 어려우시다고요.
저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잡아오지 않으셨던 분들이라면, 다음 이야기에 집중해주세요.
목표 구체화를 위한 3W 법칙입니다.
그리고 이 3W를 우리 라이프사이클에 적용시켜봅시다.
한 사람의 생에서 목돈이 필요한 이벤트는 크게 5가지입니다.
결혼비용, 자녀교육, 은퇴자금, 주택자금, 예치치 못한 사고에 대비한 자금.
사회초년생분들은 가장 가까운 이벤트가 결혼비용이기에, 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결혼비용은 어느 정도 부모님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분은 결혼식 비용을 비롯해 전세금 등을 일찌감치 준비해야 합니다. 사람마다 원하는 결혼식 규모가 다르겠죠? 이에 어울리는 결혼식 비용에 맞춰 계획을 세워야하고요.
결혼 계획이 없는 누군가에게는 이 비용이 창업비용으로 쓰일 수도 있겠죠. 사정은 각자 다르겠지만,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인생의 핵심이벤트를 4~5가지로 압축해 왜(WHY), 언제(WHEN), 무엇(WHAT)이라는 3가지 지점에 대해 생각하는 것입니다.
출처 : KBS-2TV '아이가 다섯' 캡처
재테크 목표를 정해두는 것은 마치 여행 계획을 짜는 것과 같습니다.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을 세우고 출발한다면 계획에 따라 여행을 즐길 수 있고 불의의 사고에 쉽게 대응하며, 즐겁고 행복한 여행이 될 수 있겠죠.
이처럼 미리 준비된 재테크를 한다면 여러분은 경제적으로 더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핑백: 연말정산 끝판왕, 연금저축 - 연말정산 연금저축 꿀팁 대방출 -
핑백: [ 직장인 저축 노하우 ] 직장인들이여, ‘저축력’을 기르자! - Finda
핑백: 선저축 후소비 : 자동이체가 날 도와줄거야 - 사회초년생 월급으로 살아남기
핑백: 전세 대출 꼭! 알아야 하는 사항! - 전세 대출 종류 - Fi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