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재테크 톡! Talk!] 보험도 저널리즘이 필요하다.
[마이리얼플랜 칼럼] 더 이상 사람들은 하루 동안의 뉴스거리를 모아서 편집된 저녁 TV뉴스를 기다려서 보질 않았다. 다음날 아침에나 보게 되는 기름냄새가 나는 종이신문 역시 인기를 잃은 지 오래다. 이제 PC나 스마트폰의 짤막한 기사들로 세상의 새로운 소식을 빠른 속도록 접한다. 이런 세상에 저녁 8시를 기다렸다가 온전히 TV뉴스를 끝까지 시청하게 만든 건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국정농단 사태라는 컨텐츠와 ‘JTBC뉴스룸’이라는 프로그램이다.
JTBC의 뉴스는 어느 뉴스프로그램과 같이 정갈한 수트를 챙겨 입은 남녀 앵커가 등장해서 새 소식을 전달한다. 그러나 단순히 사실을 전달 하는 것만이 아니라 손석희 식의 화법으로 전달된 사실을 해석적이고 통찰력 있게 분해해서 보여준다. 새로운 소식을 단순히 배달 하는 것이 아닌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진정한 소통의 뉴스 프로그램인 것이다.
2030에게 정치란 사실 그리 흥미로운 재료가 아니다. 심지어 어떤 채널을 틀어도 토시 하나 다르지 않는 반복되는 일방적인 정보전달형식의 뉴스는 더 이상 감흥도 없다. 하지만 정치는 잠시 피할 수는 있었으나 알고 관심을 가져야 할 대상이었다는 것은 모두 인정하고 있다.
여기 보험이라는 재료가 있다. 딱히 관심을 가질만한 것이 아닌데다가 부담스럽기 까지 해서 피하고 싶을 때도 있으나 이내 만날 일은 꼭 생긴다. 보험 그 자체로는 정치뉴스만큼 지루하고 어렵지만, 경제활동을 하고 있은 사람이라면 피하고만 살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면 보험도 정치뉴스처럼 잘 분해하고 해석하고 질문해서 제 것으로 만들어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보험은 여전히 영향력이 있는 누군가가 가입자 입장에서 분해하고 해석을 하려는 시도가 드물다. 시도는 해보지만 뒷심을 발휘하지 못한다. 또 판매 주체자와의 이해관계 때문에 진정성 있는 의견이라는 인상을 주기가 어렵다. 공적인 영역에서는 늘 문제가 있다고는 하지만 늘 일부분만 수선해서 조금씩 봉합을 하기 때문에 더 복잡하고 꼬여서 누더기 수준이다.
보험이라는 지루한 재료를 넣으면 JTBC뉴스처럼 통찰력 있게 분석하고 해석해서 스스로 내 것으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전달력 있는 그 무언가가 필요하다. TV뉴스 저널리즘이 있다면 보험에도 저널리즘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마이리얼플랜(www.myrealplan.co.kr)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고객과 설계사를 효과적으로 이어주는 플랫폼입니다.
[같이 읽으면 좋을 기사]
핑백: [보험 재테크 톡! Talk!] 보험회사의 효자상품 뒤에 웃는 보험사 - Finda